👉다음 상승장은 언제? 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 ☞웹에서 보기 안녕하세요. 매부리 구독자님들! 매부리에요? 😀 오늘 매부리레터는 우리 모두의 궁금증이죠. <집값 언제까지 오를까?>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이 질문은 정말 이야기하면할수록 더욱 알쏭달쏭한 주제인것 같아요. 그럴수록 더욱더 궁금해지고요!😁 무주택자분들이라면 지난 상승장때 매수 시기를 놓친 것을 후회하시는 분들 계실테고요. 유주택자분들이라면 좀더 좋은 곳으로 갈아타야할 기회를 놓친 것을 후회하는 분들도 계실거에요. 결론적으로 집값이 언제까지 오를지, 언제 떨어질지 예측이 되야 집 살 타이밍을 잡는 것인데 이걸 잡기가 참 힘들죠. 그래서 오늘은 삼토시(강승우)님의 책 <앞으로 5년, 집을 사고팔 타이밍은 정해져 있다> 를 중심으로 부동산 상승장과 하락장을 예측해볼 예정이에요. 삼토시님은 각종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해서 부동산 상승과 하락을 진단하기로 유명한 분이에요.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부동산 빅데이터 전문가'로 이름을 드날리고 있어요. 🍉이런분들이 읽으면 좋아요
🍇그리고 이 기사 함께 읽어요
두 가지를 저와 함께 읽어봐요. 오늘도 매부리 클릭해주셔서 감사드려요.😘 기분좋은 수요일, 그럼 고고씽해볼게요 😍 서울, 매도 타이밍 온다 🍋지금, 무리해서 집 사지 마세요 "한가지 확실한 것은 현재 서울 부동산은 상승장 후반부에 있으며 지금 사면 분명 비싸게 사는 것은 사실이다. 계속해서 오르는 재화는 없으며 이는 서울 부동산도 예외는 아니다. " 서울 집값, 지금 어느 정도 상태일까요? 책 <앞으로 5년, 집을 사고팔 타이밍은 정해져 있다>(삼토시 지음) 에서 저자는 현재 서울 집값은 상당히 버블이 많이 낀 상태라고 진단합니다. 결론 먼저 얘기하면, 저자의 진단은 이렇습니다. "2023~2024년경 서울 부동산이 정점을 찍고 수년간 하락장을 겪은 후 2028년 전후 저점을 형성하고 재반등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니까 무주택자라면 지금 무리해서 사는게 아니라면 평정심을 잃지 말고, 유주택자라면 위험을 관리해야한다는 거죠. 부동산 시장은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합니다. 부자가 되는 기회는 이 파도에 잘 올라타서 이를 대비할때 얻을수 있겠죠. 그러면 저자가 왜 3년뒤 장기간 하락 국면이 시작될거라고 예측하는지 그 얘기를 들어볼게요. 🍊집값이 떨어질수 밖에 없는 이유들 올해도 역시나 집값이 오르고 있죠. 그러나 이러한 상승세도 길어야 3년이라는게 저자의 진단입니다. 2014년부터 서울 부동산을 상승시킨 원동력 상당부분이 2023년 이후부터 힘을 잃기 시작하기 때문인데요. 집값은 한가지 요인으로 결정되지 않아요.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맞물려서 영향을 미치는데요. 첫째, 공급 폭탄 앞에 장사 없다 첫째,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입주물량 쓰나미입니다. 2023~2024년 입주 물량은 늘고 주택 수요층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를 피하고자 사업속도에 피치를 올려서 인허가를 받은 2017년 7만4984호 존재가 2023~2024년 막대한 입주를 시작합니다. 예를들어, 동남권에서만 둔촌주공 1만2032호, 개포주공1단지 6702호, 개포주공4단지 3375호 등 입주물량이 이어지는데요. 서울 정비사업이 완료되고 입주가 시작되면서 급증한 공급량은 아무래도 집값 떨어뜨릴 요인이 된다는 거죠. 둘째, 서울경기 10~11년차 부부의 감소 공급은 느는데 이를 받아줄 수요층은 급감합니다. 저자가 주택 구매의 가장 큰 수요로 주목하는 연령대가 서울경기 10~11년차 부부입니다. 첫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인 이들 부부가 서울 아파트 대표적인 매매 실수요층이라는 건데요. 서울경기 10~11년차 부부들이 2024년부터 큰 폭을 줄어듭니다. 저자는 "시장 환경에서 이들의 증감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서울 아파트 값은 2023~2024년 정점에 달하고 그 이후에 조정장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한다"고 강조하네요. 셋째, GTX-A의 개통과 신안산선 준공입니다. 새로운 철도망이 생겨 수도권 외곽에서도 대도시로 통근이 편해지면 그만큼 서울이 확장되는 효과가 나겠죠. 저자는 GTX와 신안산선 개통에 주목합니다. 2024년 경기 서부권과 서울을 잇는 신안산선이 준공되고요, 2023년 경기 남부부터 서울 강남까지 25분에 갈수 있는 GTX-A 노선 개통이 예상돼있습니다. 서울 생활권 확대로 인해 주거 수요가 분산되면서 아무래도 서울 아파트 수요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죠. 넷째, 주택임대사업자 물량 쓰나미 2026년부터, 임대등록기간이 종료되는 주택임대사업자들의 물량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양도세 감면을 받기 위해 8년 이상 의무임대로 집을 묶어놓은 곳들이 의무기간 만료가 되면서 시장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죠. 저2015년부터 증가한 임대주택은 2023년부터 매물로 나올수 있는 물량이 많아지는데요. 특히 임대사업자 주택은 2018년 크게 뛰었기 때문에, 8년 의무임대가 끝나는 2026년 큰 폭의 물량이 쏟아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다섯째, 3기 신도시 입주 개시 2026년부터 3기신도시 입주가 시작됩니다. 지난 과거를 돌이켜보면 1기 신도시 입주기간에 서울 아파트 시장은 5년간 조정을 겪었고, 2기신도시 판교와 광교가 입주했던 기간에도 서울 아파트 시장은 조정장을 겪었습니다. 그만큼 저자 또한 3기신도시 역시 서울 부동산에 하방 압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따르면, 3기 신도시 17만3000호 중 남양주 왕숙(6만6000호), 하남교산(3만2000호), 인천계양(1만7000호)은 2019년 10월,
고양 창릉(3만8000호)은 2020년 3월, 부천대장(2만호)은 2020년 5월 지구 지정을 끝냈어요.
과거 신도시에 비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2기 신도시인 판교 광교 위례가 지구 지정된지 7~8년만에 입주를 시작한 사실을 통해 추정해보면, 2019~2020년에 지구 지정된 3기 신도시는 2026~2027년을 전후해 입주를 시작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갑자기 공급되는 엄청난 물량이 서울 집값 하락을 끌고가는 요소로 작용할수 있다는 새헉이죠. 여섯째, 부담되는 주택 구입 지수 주거비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죠, PIR(연소득 대비 주택가격)가 갈수록 높아지는 점도 집값 하방압력을 주는 요소입니다. PIR는 Price to Income Ratio로 수입 대비 집값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 지역의 PIR이 7이라면 A지역의 중간 소득계층이 7년 동안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아야 A지역의 중간가격 주택을 살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서울 아파트 PIR는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2020년 2분기 기준 서울 아파트 PIR는 11.4 로 이는 서울의 중간 소득계층이 11.4년간 한푼도 안쓰고 모아야 서울의 중간 가격대 아파트를 살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가구 소득이 수용 가능한 임계치에 빠르게 다가가고 있는 만큼, 공급 폭탄에 실수요층이 급감하는데다가 주택 구입 부담도 올라가 집값이 마냥 상승할수만은 없다는 설명인거죠. ![]() 주거비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 PIR(연소득 대비 주택가격)가 치솟고 있습니다. 2020년 2분기 기준 서울 PIR는 11.4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어요. <사진=책 발췌> 🍏그러면 언제 집사요? 결국 저자는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두루두루 살펴본 결과 2023~2024년 전후로 하락이 시작되며 2028년 전후까지는 계속 조정기가 이어지다가 2028년 전후로 다시 반등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삼토시님의 전망,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여러가지 요인을 살펴봤는데요. 삼토시님은 서울과 지방의 상승-하락 순환 싸이클이 다르다는 것을 언급하면서, 서울 하락장이 오기전에 집을 팔고 상승장이 오는 지역으로 갈아타는 식으로 파도를 잘 이용하면 부자가 될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 무엇보다 이 책은 여러가지 통계와 지표를 근거로 정밀한 분석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서 더욱 설득력있게 다가오는 것 같아요. 부동산 전망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이 궁금하시다면 꼭 한번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려요. 😊 이 좋은 아파트에, 우리는 못 들어가나요? 올해 사전청약 대상 단지인 서울 동작구 수방사터. 군관사와 신혼희망타운으로 공급된다. <사진=LH의 ‘동작구 수방사 군부지 위탁개발사업 공동주택 설계공모’ 당선작, 신도시건축사무소 홈페이지> 이번주에도 부동산 이슈가 뜨거운데요. 그중에서 매부리 구독자님들은 꼭 한번 읽어보셨으면 좋을 기사 2개 골라봤어요.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이후 재건축 아파트들이 속도를 내고 있어요. 이 기사가 중요한 이유는 👉
정부가 올해 7월부터 사전청약 3만200호를 공급한다고 밝혔죠. 오래만에 공급 물량이 쏟아졌는데 청약 대기자들 사이에서는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어요. 특히 오랜기간 무주택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집마련을 꿈꿔온 4050세대의 반발이 큽니다. 왜일까요? 👉
매부리 구독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전청약 받아야할까요? 말아야할까요? 오늘도 매부리레터 받아주셔서 감사해요 😙 오늘 날씨는 약간 구름이 낀것 같은데, 매부리 독자님들은 마음은 화창한 봄날이 됐으면 좋겠어요. 💏 💗재테크 의욕 뿜뿜 명언💚 계속해서 오르는 재화는 없으며 이는 서울 부동산도 예외는 아니다. <삼토시(강승우)> 오늘도 매부리레터 잘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오늘 편지 어떠셨나요? |
정말 쉬운 재테크 콘텐츠